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연금저축 vs IRP – 세액공제 환급 실전 계산 예시

by all-plus 2025. 9. 27.

 

연금저축과 IRP는 단순히 노후 준비용 상품이 아닙니다. 많은 사람들이 이 계좌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세액공제 혜택 때문입니다. 특히 직장인이나 자영업자라면 매년 연말정산에서 환급액을 직접 체감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단순히 “최대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하다”는 설명만으로는 체감하기 어렵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실제 소득 수준에 따른 세액공제 환급액을 구체적인 숫자 예시로 풀어보겠습니다.

1. 세액공제 기본 구조 이해하기

  • 연금저축: 연간 납입액 600만 원 한도
  • IRP: 연금저축 포함 총 900만 원 한도
  • 세액공제율:
    • 총급여 5,500만 원 이하 → 16.5%
    • 총급여 5,500만 원 초과 → 13.2%

2. 소득별 환급액 시뮬레이션

(1) 총급여 4,000만 원 직장인

세액공제율: 16.5%
납입금액: 연금저축 600만 원 + IRP 300만 원 = 총 900만 원
환급액 = 900만 원 × 16.5% = 148만 5천 원

(2) 총급여 6,000만 원 직장인

세액공제율: 13.2%
납입금액: 연금저축 600만 원 + IRP 300만 원 = 총 900만 원
환급액 = 900만 원 × 13.2% = 118만 8천 원

(3) 총급여 8,000만 원 고소득자

세액공제율: 13.2%
납입금액: 연금저축 600만 원만 납입
환급액 = 600만 원 × 13.2% = 79만 2천 원

3. 세액공제 환급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

  1. 소득에 맞는 최적 납입총급여 5,500만 원 이하 → 무조건 연 900만 원 꽉 채우기
    총급여 5,500만 원 초과 → 그래도 연 600만~900만 원 납입은 필수
  2. IRP와 연금저축의 조합 활용연금저축만 납입하면 최대 600만 원, IRP까지 활용해야 900만 원 세액공제 가능
  3. 10년 이상 누적 효과연 150만 원 환급 × 10년 = 1,500만 원 이상 절세 가능

4. 실제 환급 체감 포인트

예를 들어, 총급여 4,000만 원인 직장인이 연 900만 원 납입 후 148만 원을 환급받는다면, 매달 실제 체감 비용은 900만 원 ÷ 12개월 = 75만 원이지만, 세액공제를 감안하면 실질 비용은 월 62만 원 수준에 불과합니다.

5. 결론 – 절세는 시작이고, 투자 성과는 보너스

연금저축과 IRP는 매년 수십만 원~백만 원 이상의 세금을 절약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. 그러나 진짜 가치는 절세뿐만 아니라, 환급액과 납입금액이 계좌 내에서 투자되어 복리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.

  • 총급여 5,500만 원 이하: 매년 900만 원 납입 → 환급 극대화
  • 총급여 5,500만 원 초과: 연 600만~900만 원 납입 유지
  • 장기 운용 시: 절세 + 복리 = 최고의 노후 준비


절세 - 세액공제